노인 환자에게 흔히 발생하는 급성 의식 장애인 **섬망(Delirium)**은 단순한 혼돈이나 착각이 아닌, 적극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한 의료적 응급상황입니다. 특히 입원한 노인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간호가 회복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본 글에서는 노인 섬망의 정의와 원인, 증상, 유형을 살펴보고, 병원 간호 전략과 실천 가능한 간호 중재법을 중심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1. 노인 섬망의 정의와 주요 원인
섬망은 단기간에 발생하는 의식과 인지 기능의 변화로, 주로 주의력 저하, 지남력 장애, 사고의 혼란이 나타납니다. 수 시간에서 수일 이내에 급격히 증상이 발현되며, 하루 중에도 증상의 변동이 심한 것이 특징입니다.
1) 주요 원인
- 약물 부작용: 진통제, 수면제, 항콜린제 등
- 대사 이상: 탈수, 저혈당, 전해질 불균형
- 감염: 요로감염, 폐렴 등
- 수술 및 마취: 특히 고관절 수술, 심장 수술 후
- 환경 변화: 낯선 병원 환경, 입원 스트레스
고령자는 뇌의 예비능력이 감소되어 있어 이러한 원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섬망 위험이 높습니다.

2. 노인 섬망의 주요 증상과 유형 분류
섬망의 증상은 환자마다 다양하며, 인지 기능과 행동의 급격한 변화가 핵심입니다.
1) 주요 증상
- 갑작스러운 말과 행동의 변화
- 밤낮이 바뀐 수면 패턴
- 환각(특히 시각적), 망상
- 주의 집중력 저하, 지남력 장애 (시간/장소 혼동)
- 과도한 흥분 또는 무반응
2) 유형 분류
- 고동성 섬망: 불안, 초조, 공격적인 행동, 환각이 두드러짐
- 저동성 섬망: 졸림, 무기력, 반응 감소 등으로 간과되기 쉬움
- 혼합형 섬망: 고동성과 저동성이 번갈아 나타나는 형태
특히 저동성 섬망은 조용하고 눈에 띄지 않아 의료진이 놓치기 쉬워,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3. 병원에서의 간호 전략: 예방과 조기 발견 중심
병원 환경에서는 섬망의 위험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예방·관리하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1) 예방 중심 간호 전략
- 입원 전 기존 약물 확인 및 불필요한 약물 중단
- 밤낮 구분이 가능한 병실 환경 조성 (햇빛 노출, 조명 조절)
- 수분 공급, 영양 상태 관리, 배변 조절 등 기본 간호 강화
- 시계, 가족사진, 캘린더 등 지남력 유지 도구 제공
- 낯선 의료진이 잦은 교대 없이 일관된 돌봄 제공
2) 조기 발견을 위한 전략
- 매일 지남력과 주의력 사정: (예) "오늘이 며칠인가요? 여기가 어디인지 아시겠어요?"
- CAM (Confusion Assessment Method) 도구 활용
- 가족과 협력하여 평소와 다른 행동이 있는지 정보 수집
- 간호 기록에 혼돈, 환각 등의 초기 변화 기술
4. 실질적 간호 중재법: 대상자 중심 접근
섬망이 발생한 환자에게는 비약물적 접근을 우선으로 하며, 정서적 지지와 안전 확보가 핵심입니다.
1) 비약물적 중재 예시
- 자극이 적은 환경 유지 (조용한 병실, 불필요한 장비 소리 제거)
- 가족의 정기적 방문 유도 또는 익숙한 음성 녹음 제공
- 짧고 명확한 문장으로 반복적인 설명 사용
- 손을 잡아주는 촉각 자극, 이름을 자주 불러주기
- 활동 가능한 낮 시간대에는 간단한 퍼즐, 신문 읽기 등으로 주의력 유지
2) 약물 사용 시 주의
- 비약물요법이 실패했을 경우에만 최소 용량, 단기간 항정신병제 사용
-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고령자에게 섬망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
5. 노인 섬망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노인 섬망을 발견하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고 필요한 조치를 시작하세요. 섬망을 조기에 발견하고 간호적으로 적극 대응하면 장기 입원이나 합병증, 사망률 증가를 막을 수 있습니다.
예방적 접근과 정서적 지지를 포함한 총체적인 간호 전략을 실천해 회복을 도우세요. 이는 환자의 건강뿐 아니라 가족의 정서적 부담까지 덜어주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노인 간호의 현장에서, 보이는 증상에만 집중하지 말고 놓치기 쉬운 신호에 귀 기울이세요. 간호사의 관찰력과 공감 능력이 섬망 간호의 핵심입니다.